흔히 환경오염의 원인이며 쓰레기로 인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범으로 비닐을 지목한다. 그래선지 사용을 자제하자는 말을 자주 접한다. 누군가는 당장 비닐사용 줄이기를 실천해야 한다고 외치기도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비닐이나 비닐봉투를 정책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말한다. 개인의 사용자제가 효과적일 것 같아 장바구니를 사용하자는 캠페인에 동참해도 모든 포장은 이미 비닐에 담겨져 나온다. 하지만 이미 위생관념이란것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포장되어 있지 않은 상품에 대한 불신은 팽배하기 때문에 대안이 분명치 않다. 편의적 발상으로 인한 인간의 행동으로 쓰레기는 쌓여 충분히 예상가능한 재앙을 만들어내는 것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작년에 우연히 영국 BBC 온라인 뉴스채널에서 생각지도 못한 인터뷰 클립영상을 보게 되었다. 스웨덴의 스텐 구스타프 툴린(Sten Gustaf Thulin)에 대한 기사였다. 툴린씨는 종이봉투를 쓰기 위해서는 수 많은 나무가 잘려 나가는 것을 보고 비닐봉투를 개발한 사람이었다. 종이는 쉽게 찢기고, 물에 약했기에 다시 쓰는 것이 쉽지 않았다. 반면 비닐은 접어 넣고 다니기 쉽고, 질긴데다 습기에 강했기에 재사용이 얼마든지 가능했다. 결국 비닐봉투를 개발한 배경에는 환경에 대한 관찰과 상념이 담겨있다.

메시지는 대다수 의도를 포함한다. 동의와 공감과 무관하게 곡해될 가능성과 편의에 의한 변형이 동시에 발생한다. 2020년 현재를 사는 청소년과 예술교육 역시 자유롭지 않다. 문명과 문화는 예술과 함께 해왔지만, 시대에 따라 그 행위자의 지위가 달랐다. 지금 우리사회에서 예술은 모두가 누려(?)야 하는 영역처럼 여겨진다. 그래서 경험재인 예술과 예술행위를 배우고 익히고 싶어한다. 그렇게 예술교육이 대중으로 존재하는 아동/청소년에게 다가가기 위해 정책과 사업을 세팅하고 수행인력과 예산을 배정했다. 공공성을 탑재한 예술교육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본래의 의도는 예술과 예술가를 접하면서 세계관이 넓어지고, 자연스러운 예술행위로 만나게 되는 자기성장을 독려하자는 것이다. 의도는 그러하다. 허나 교육의 현장과 예술교육의 장면은 조금 다른 그림이 펼쳐진다. 입시를 위한 학교와 학원의 스케줄에 밀려 선택이 한정적이고, 부모의 정보에 의존하다 보니 선호와 무관하거나, 동기없이 자리를 지켜야 하는 일도 허다하다. 이때 예술교육은 스케줄을 피해 짧은 시간 성과를 내야 하는 과제를 떠 안고, 학습자의 동기를 조작적으로라도 부여하느라 정작 예술행위와 그 이야기를 풀어내기 보다 자극의 요소와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더 깊어질 수 밖에 없었다. 청소년이 본격적으로 사회에 접속하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고, 예술가와 대화하면서 세계관을 확장할 수 있는 경험의 장은 과연 만들 수 있을까. 이런 질문으로 [서울예술센터_용산]을 기획하는 것은 불확실하고 불가능한 상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