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은 내일의 주인공이라는 언어는 이제 낡았다. 내일은 관념이지만 오늘은 현실이며 ‘나’를 직시하게 만든다. 청소년정책과 사업은 마치 청소년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던 시대가 전환되는 이유도 그와 유사하다.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 앞에 놓인 해결과제 또는 현재의 삶에 대해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 시기가 이미 찾아왔다. 1992년 UNFCCC(UN기후변화기본협약)은 지구온난화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각국 정부의 행동을 촉구하며 시작했다. 선행연구가 밝혀낸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심각성은 세계적으로 이미 30년전부터 발신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하지만 지구온도는 이미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를 만난다. 정치/경제적으로 얽혀 있는 세계의 무역과 시장은 더 많은 생산량을 선점하려고 했을 뿐 실효를 거두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감각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다가온 생태계의 깨져버린 링크와 인류의 생존문제가 그 어떤 위기보다 최상위가 되었다. 불특정다수의 대중에게 전하는 미디어는 여과한 정보로 위기를 순화시켜 왔다. 대중적 공포를 조장하며 패닉이 만들어지는 것이 옳지 않다는 판단이었지만, 2021년 현재를 살아가면서 더는 숨길 수 없어질 만큼 기후-환경-생태계의 순환고리가 회복사이클을 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정보로 노출된다.

2019년 UN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스웨덴의 16세 청소년 그레타 툰베리의 연설은 과감하다. “당신들은 빈말로 내 꿈과 어린시절을 빼앗았다. 어떻게 감히 그럴 수 있나”라고 소리쳤다. 각국 정상이 지속가능한 경제에 대해서 떠들고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우위를 선점하려고 싸우는 동안 청소년에게 지운 재앙에 대한 질타였다. 지금의 위기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느끼는 공포감을 포함한다. 이 공포는 아동/청소년에게는 앞에 놓인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문제의 핵심인 기존 질서와 맞서야 하는 행동으로 치환되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우리사회의 아동/청소년은 행동주체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제도교육의 관성이 그러하고, 산업에 가까운 사교육시스템이 강고하다. 여전히 초유의 관심사가 입시의 관문을 통과해야 사회로 진입할 수 있다는 강력한 힘이 작동한다. 그래서 바로 앞에 놓인 재편되는 세계에 대응할 능력과 기술로 부터 동떨어져 있다. 지금 시작해도 늑장대응이 될 생태와 환경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실험의 장에 청소년은 항상 뒷전에 있다. 온실가스 배출. 화석연료의 사용. 에너지전환시나리오. 탈탄소화관점. 이런 키워드를 이 위기를 만든 세대들의 손에 맡겨 놓기에는 불안해야 마땅하고 행동으로 전환해야 하는 때다.